공공녹색구매 선도도시 네트워크 발족 및 운영 사업
본 사업은 한국환경산업기술원(발주기관)과 이클레이 한국사무소(수행기관)는 기후변화 대응, 지역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공공녹색구매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지방정부 스스로가 인식하고 자발적인 이행 토대를 마련하기 위하여 2019년에 출범하였으며 현재 경기도(부천시, 고양시), 대전광역시, 부산광역시가 선도도시로 함께 참여하고 있다.
주요목표 | 1 | 지역별 2020년까지 녹색제품 구매비율 2018년 대비 10%p 상승 |
---|---|---|
2 | 지방정부(3곳), 전문기관, 시민사회가 참여하는 네트워크의 구성 | |
3 | 우수사례 발간물(국‧영문 성과보고서, 사례보고서, 카드뉴스) 제작 및 국내외 네트워크를 통한 배포 |
추진 방법 |
내용 | 2019년 | 2020년 |
---|---|---|---|
WP1. 공공녹색구매 이행제고 컨설팅 및 역량강화 | |||
현황 및 개선점 분석 | ◎ | ○ | |
이행 제고 컨설팅 | ◎ | ◎ | |
역량강화 | ○ | ◎ | |
WP2. 공공녹색구매 선도도시 네트워크 구축 및 운영 | |||
지방정부 선발 | ◎ | - | |
협의체 구성 | ○ | ◎ | |
회의 운영 | ○ | ◎ | |
WP3. 성과관리 및 홍보 | |||
성과관리 | ○ | ◎ | |
문서화 | ○ | ◎ |
※ <○ : 추진 과제, ◎ : 중점 추진 과제> : 연도별로 보다 집중적으로 추진한 과제와 일반 과제를 구분하여 표기함
UN 10YFP 프로그램
지속가능한 소비와 생산 10개년 기본계획 (UN 10YFP: 10 Year Framework of Programme on Sustainable Consumption and Production)은 전 세계 녹색경제와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지속가능 소비와 생산’ 국제협력 프로그램으로 2012년 6월 RIO+20 회의에서 논의되어, 2014년 뉴욕에서 공식적으로 채택되었다.
이에 따라서 지속가능공공구매가 국제사회 및 지방정부의 공동목표와 이행과제로 자리 잡기 시작하였으며 총 6개의 우선 협력분야를 중심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소비자 정보
에코라벨링, LCA(Life Cycle Assessment) 등 정보 보급
지속가능 생활습관 및 교육
친환경생활을 위한 인센티브와 교육 등
지속가능공공구매
공공녹색구매, Green SCM(Supply Chain Management) 등
지속가능 건축
녹색건축 설계, 건축자재, 건축인증 등
지속가능 관광
친환경 관광프로그램
지속가능 식품 체계
친환경식료품 정보시스템 구축, 공급망 관리
이클레이 한국사무소는 UN 10YFP 지속가능공공구매 프로그램으로 아시아에서 추진하는 ‘지자체 공공녹색구매 이행 및 편익 측정 지원 시범사업’을 국내에서 추진하였다. 한국에서는 수원시(수행기관: 이클레이 한국사무소) 1개 도시, 중국에서는 톈진 빈하이 신구와 광밍 신구 2개 도시(수행기관: 이클레이 동아시아 본부)가 선정되어 2016-2018 2년간 사업을 추진하였다.
1) 지자체 대상 녹색구매 컨설팅 제공 및 10YFP를 통한 성과 홍보를 통해 지자체의 녹색구매 역량강화 및 의지고취
2) 한국의 참여 지자체 간 네트워킹 지원을 통한 우수사례 공유
구분 | 이행계획 | 세부내용 |
---|---|---|
1단계 |
녹색구매 구매 확대 추진 |
· 가이드라인 및 교육 · 간담회 및 컨설팅 |
2단계 | 협조체계 구축 |
· 협조체계 구축 |
3단계 | 구매이행 |
· 구매 이행 · 모니터링 실시 |
4단계 | 편익분석 |
· 환경편익 분석 · 구매 평가 |
5단계 | 성과 홍보 |
· 국외연수 지원 · 우수 부서 표창 · 사례보고서 · 시장포럼 · UNFCCC |
* 이클레이 한국사무소는 이클레이의 EcoProcura, Procura+를 활용하여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있음
구분 | 1단계 | 2단계 | 3단계 | 4단계 | 5단계 |
---|---|---|---|---|---|
이행 계획 |
녹색구매 구매 확대 추진 |
협조체계 구축 |
구매 이행 |
편익 분석 |
성과 홍보 |
세부내용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