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by Pontus Ohlsson on Unsplash
스웨덴 말뫼는 지난 몇 년 동안 도시의 전체 에너지 소비는 물론 1인당 에너지 소비량 감축에 있어 진전을 이루었다. 도시 전반에서의 재생에너지의 사용 비율 역시 증가하였으나 아직 도시 전체에서의 100% 재생에너지 사용 목표를 달성하지는 못하였다. 시 정부 차원에서 생산한 재생에너지(풍력, 태양광, 그리고 바이오가스) 발전량은 2016년 6,916 MWh에서 2017년 16,660 MWh로 2배 이상 성장하였다. 시 정부 소유의 시설 자체적 생산량뿐 아니라 도시 전반에서 생산한 재생에너지 발전량은 2017년에 416,500 MWh에 달했으며, 전년도 366,100 MWh에 비해 14% 상승하였다. 이 수치는 말뫼가 소비하는 전력량의 4분의 1에 해당하는 양이다. 이 수치의 상당부분은 풍력발전을 통한 성과이다. 지역의 에너지 수요를 100% 재생에너지로 공급한다는 야심찬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에너지 수요 관리와 효율성 확보가 발전량 공급과 맞물려 진행되어했다. 이클레이 한국사무소는 2021년 이클레이 세계총회 개최도시로 선정된 스웨덴 말뫼에 대한 보다 자세한 이야기를 나누고자 한다.
경제와 도시의 변화
말뫼는 지난 20여 년 동안 전통적인 조선업과 중공업 기반의 산업도시에서 지식과 지속가능성 기반의 현대적 지식 도시로 탈바꿈하였다. 말뫼의 이러한 변화는 특히 서쪽 항구 지역에서 매우 두드러지는데, 과거 조선업을 중심으로 한 중공업 지역이었던 이 지역은 상업기능과 주거기능이 복합된 지역으로 탈바꿈하였다. 그 중 가장 먼저 개발된 Bo01 지역은 지역에서 소비되는 에너지의 100%를 태양광과 풍력, 그리고 지열 등의 청정/재생에너지원을 통해 지역 내에서 자체적으로 생산하는 것을 목표로 개발하는 등 혁신적인 도시개발 모델을 제시하였다.
말뫼가 처했던 현실과 국가적 재생에너지 목표
스웨덴은 재생에너지 분야에서 이미 유럽의 리더 역할을 하고 있었다. 2014년에 이미 재생에너지 비율이 52.6%를 기록(재생에너지 발전, 재생에너지 냉난방, 교통부문의 재생에너지 사용 포함), 국가 차원에서 목표했던 2020년까지 50% 재생에너지 목표를 이미 달성한 상황이었다. 그리고 말뫼와 같은 도시/지방정부 수준에서의 야심찬 목표와 계획이 국가 차원의 목표 달성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다.
주거와 상업시설에서의 전기 수요를 충족하면서 해당 목표를 달성할 수 있었던 성과의 뒤에는 말뫼는 도시 개발과 재생을 위한 야심찬 계획과 캠페인이 있었다. 지난 25여 년 기간에 걸쳐 버려졌던 갈색 땅과 산업시설이 있던 공간들은 에너지효율빌딩과 매력적인 공공 공간으로 변모하였다. 특히, 풍력발전량은 해상과 내륙 모두에서 괄목할만한 성장을 이루었고, 복합개발, 자원 효율적 도심 공간들은 말뫼에서는 당연한 것이 되어갔다.
말뫼가 취한 행동들
말뫼는 지속가능한 도시를 위한 노력을 보다 넓은 지역으로 확대하고 있다. 말뫼 남부에 있는 Hyllie 지역, 9,000여 가구 규모의 신규 주거지와 비즈니스센터가 들어서는 이곳을 기후 대응에 있어 가장 진보적인 지역으로 만들어가고 있다. 이 지역에서는 2011년 말뫼시와 에너지기업 E.ON, 그리고 지역 공기업 VA SYD가 새로운 기후?약(New Climate Contract)를 맺고 협력하고 있다.
2015-2018 환경프로그램 이행계획에 따라서 진행된 재생에너지 관련 활동은 아래와 같다.
- 태양광, 태양열, 수력, 풍력, 바이오가스를 통한 에너지 생산 목표의 설정
- 말뫼 경계 내의 재생에너지 발전 비율에 대한 조사와 상향
- 빌딩과 지역재생에너지 생산에 있어서의 에너지절감형 도시 디자인 시범지역 선정
- 지열가스, 풍력 발전, 그리고 다른 형태의 재생에너지 플랜트를 고려한 중앙정부 수준의 규정 마련 촉진
- 재생에너지 개발을 위한 대안적 재정지원 모델의 발굴
- 말뫼에 제공되는 지역난방에 있어서의 재생에너지 비중 확대 촉진
이중 몇 가지 지표와 목표는 2015년 이후 더욱 강화되었다. 2020년까지 말뫼 지역에 공급되는 지역난방을 위한 에너지 생산의 100%를 재생에너지로 전환할 것을 목표로 하였다.
말뫼 전역에 대한 100% 재생에너지 전환 전략도 모든 교통시스템에 대한 전기구동 차량으로의 전환을 필요로 한다. 이 영역에 대한 말뫼의 행동과 지표는 스웨덴 국가정부 차원에서의 야심찬 목표를 반영하고 있다. 스웨덴 정부는 2020년까지 교통 부분 에너지 소비의 10%를 재생에너지로 전환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고, 2030년까지는 교통부문에서의 화석연료 사용량 '0'을 목표로 하고 있다. 말뫼의 2015-2018 이행계획에서 설명하고 있는 교통부문에서의 전략은 아래와 같다.
- 새로운 친환경 자동차 활성화 전략
– 지자체 관용차량에 대한 바이오가스, 수소, 전기차량(플러그인 하이브리드 포함) 확대
- 주차 실태와 가격, 위반 시 처벌과 벌금에 대한 총괄적 조사 진행
- 자전거 공유 프로그램 구축
- 전기 자동차 충전시설 확충
- 대중교통, 자전거, 그리고 전기 자동차를 중심으로 사람과 물류의 흐름 통합 작업
- 바이오가스, 수소, 그리고 전기차 충전을 제공하는 지속가능한 서비스 스테이션 구축
- 보행, 자전거, 대중교통의 이용 환경 개선
Photo by Jesper Ericsson on Unsplash
도시 운영시설의 에너지 전환
말뫼는 2015년에 이미 시가 운영하는 시설에 제공되는 전력량의 100%를 재생에너지를 통해 발전하였다. 이 전력량의 약 94.5%는 시가 구매한 전력이며, 나머지 5.5%는 자체적으로 생산한 전력이고 대부분은 풍력 발전이다. 2014년에 두 개의 풍력발전 시설을 구매한 효과가 기존 태양광 발전량과 더불어 2017년에는 그 발전량이 16,660 MWh에 이르렀고 이는 2009년 559 MWh의 30배에 이르는 수치다. 말뫼의 북항과 외부순환도로에 설치되는 대규모 풍력발전시설이 가동을 하게 되면 연간 발전량은 36,000 MWh 상승하게 되고, 이를 통해 1만 3천 가구의 연간 전력 소비를 커버할 수 있는 수준으로 성장할 것이다.
자전거의 도시 말뫼
오늘날 말뫼는 장장 470km에 이르는 자전거 도로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으며, 이는 스웨덴 도시들 중에서도 단연 으뜸이다. 이는 실제로 말뫼의 자매도시이자 세계적인 자전거 도시인 코펜하겐보다도 높은 수치이다. 말뫼에서의 자전거 이용률은 지금도 성장하고 있으며, 도시 전체 교통의 약 30%가 자전거로 이루어지고 있고, 학교 통학과 직장 출퇴근 이동에 있어서는 4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수준이다.
자전거는 말뫼의 도시 교통에서 우선순위를 차지하고 있다. 도심 지역의 28개 교차로에는 자전거의 이동을 감지하고 우선 신호를 제공하는 자동인식 시스템이 도입되어 있다. 자동차 이동이 많지 않은 교차로에 자전거 이용자가 접근을 하면 신호등이 자전거 녹색등을 표시하여 자전거 이용자가 정차하지 않고 안전하게 교차로를 지날 수 있는 이동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물론 말뫼에서의 이동에 있어서 여전히 자동차를 필요로 하는 경우가 있지만 이러한 자동차의 이동도 지속가능성을 고려하여야 한다. 말뫼는 바이오가스 생산을 위해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의무 수거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다. 이렇게 생산된 바이오가스는 버스와 승용차 연료로 사용하고 있으며, 이미 말뫼 지역의 177개 모든 도시 버스는 천연가스와 바이오가스를 혼용하여 운영되고 있다. 바이오가스를 이용하는 승용차의 숫자도 증가하고 있으며, 2015년에 이미 시의 모든 행정차량에 대해서 바이오가스, 전기, 수소 연료 자동차로 교체하는 정책을 도입하였다.
Photo by Susan Yin on Unsplash
지속가능한 도시의 모델, 말뫼
말뫼는 한국의 도시들보다 훨씬 앞서 산업적 쇠퇴와 도시 성장의 한계를 경험하였다. 이러한 어려움을 통해 새로운 방향의 도시 전략을 필요로 했고, 그 해답을 ‘도시 지속가능성’에서 찾았다. 말뫼를 보면 온실가스를 줄이고 재생에너지를 확대하는 것이 결코 우리의 산업 경쟁력을 약화시키기만 하고 그에 따라 시민의 삶을 불편함과 고단함으로 채우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우리는 이미 4차 산업혁명으로 대표되는 변화의 물결 속에서 과거 전통적 산업에서 새로운 산업으로의 전환을 빠르게 진행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는 우리가 과거에 겪었던 농업사회에서 산업사회로의 변화보다도 훨씬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말뫼는 조선 산업의 쇠퇴라는 어려움을 겪은 후에 이 극복하는 과정에서 야심찬 변화를 추진하였고, 그 결과로 지금의 풍요롭고 살기 좋은 도시의 모델이 되었지만, 이러한 교훈을 이미 접하게 된 우리의 도시들은 보다 앞선 행동을 통해 말뫼가 겪은 변화를 조금은 쉽게, 혹은 시행착오를 덜 겪고 추진할 수 있지 않을까? 물론 스웨덴의 기후, 풍토, 도시의 규모, 인구, 밀도, 시민의식, 조세체계 등, 셀 수 없이 많은 부분에서 우리의 그것과 매우 다르다. 하지만 지구라는 행성에서 함께 진화하며 살아가는 인류가 본능적으로 추구하는 자연과 조화를 이룬 평화로운 삶에 대한 근본적 욕구는 스웨덴 사람과 우리가 결코 다르지 않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말뫼와 같은 변화가 여느 도시에서 실현되기가 쉽지 않은 것은 경험을 통한 학습과 성장의 가치가 그만큼 크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무엇보다도 우리에게 요구되는 이러한 변화가 이제 더 이상 북극에서 서식지를 잃어가는 북극곰을 살려야 한다는 먼 나라 이야기가 아니라, 우리와 우리가 살다가 물려줄 도시를 고스란히 이어받아 살아야 하는 다음 세대의 생존을 위한 것이라는 사실이 이러한 변화를 조금 더 시급함으로 앞당겨 줄 수 있지 않을까 기대해 본다.
<참고 자료>
Integrating Ambitious Renewable Energy Targets in City Planning
http://old.iclei.org/fileadmin/PUBLICATIONS/Case_Studies/7_Malmo_-_ICLEI-IRENA_2012.pdf
Malmo – from industrial wasteland to sustainable city
http://www.climateaction.org/climate-leader-papers/ilmar_reepalu_mayor_city_of_malmoe_sweden
Malmo stad
https://malmo.se/Nice-to-know-about-Malmo/Technical-visits/Theme-Sustainable-City.html
Steps to Achieving 100% Renewable Energy Use
https://www.irena.org/-/media/Files/IRENA/Agency/Publication/2018/Dec/IRENA_Cities_2018e_Malm.pdf?la=en&hash=15AAEB18677CA4C7575A1D86F75E9BA6C941661A
문의: 강정묵 정책정보팀장
Photo by Pontus Ohlsson on Unsplash
스웨덴 말뫼는 지난 몇 년 동안 도시의 전체 에너지 소비는 물론 1인당 에너지 소비량 감축에 있어 진전을 이루었다. 도시 전반에서의 재생에너지의 사용 비율 역시 증가하였으나 아직 도시 전체에서의 100% 재생에너지 사용 목표를 달성하지는 못하였다. 시 정부 차원에서 생산한 재생에너지(풍력, 태양광, 그리고 바이오가스) 발전량은 2016년 6,916 MWh에서 2017년 16,660 MWh로 2배 이상 성장하였다. 시 정부 소유의 시설 자체적 생산량뿐 아니라 도시 전반에서 생산한 재생에너지 발전량은 2017년에 416,500 MWh에 달했으며, 전년도 366,100 MWh에 비해 14% 상승하였다. 이 수치는 말뫼가 소비하는 전력량의 4분의 1에 해당하는 양이다. 이 수치의 상당부분은 풍력발전을 통한 성과이다. 지역의 에너지 수요를 100% 재생에너지로 공급한다는 야심찬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에너지 수요 관리와 효율성 확보가 발전량 공급과 맞물려 진행되어했다. 이클레이 한국사무소는 2021년 이클레이 세계총회 개최도시로 선정된 스웨덴 말뫼에 대한 보다 자세한 이야기를 나누고자 한다.
경제와 도시의 변화
말뫼는 지난 20여 년 동안 전통적인 조선업과 중공업 기반의 산업도시에서 지식과 지속가능성 기반의 현대적 지식 도시로 탈바꿈하였다. 말뫼의 이러한 변화는 특히 서쪽 항구 지역에서 매우 두드러지는데, 과거 조선업을 중심으로 한 중공업 지역이었던 이 지역은 상업기능과 주거기능이 복합된 지역으로 탈바꿈하였다. 그 중 가장 먼저 개발된 Bo01 지역은 지역에서 소비되는 에너지의 100%를 태양광과 풍력, 그리고 지열 등의 청정/재생에너지원을 통해 지역 내에서 자체적으로 생산하는 것을 목표로 개발하는 등 혁신적인 도시개발 모델을 제시하였다.
말뫼가 처했던 현실과 국가적 재생에너지 목표
스웨덴은 재생에너지 분야에서 이미 유럽의 리더 역할을 하고 있었다. 2014년에 이미 재생에너지 비율이 52.6%를 기록(재생에너지 발전, 재생에너지 냉난방, 교통부문의 재생에너지 사용 포함), 국가 차원에서 목표했던 2020년까지 50% 재생에너지 목표를 이미 달성한 상황이었다. 그리고 말뫼와 같은 도시/지방정부 수준에서의 야심찬 목표와 계획이 국가 차원의 목표 달성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다.
주거와 상업시설에서의 전기 수요를 충족하면서 해당 목표를 달성할 수 있었던 성과의 뒤에는 말뫼는 도시 개발과 재생을 위한 야심찬 계획과 캠페인이 있었다. 지난 25여 년 기간에 걸쳐 버려졌던 갈색 땅과 산업시설이 있던 공간들은 에너지효율빌딩과 매력적인 공공 공간으로 변모하였다. 특히, 풍력발전량은 해상과 내륙 모두에서 괄목할만한 성장을 이루었고, 복합개발, 자원 효율적 도심 공간들은 말뫼에서는 당연한 것이 되어갔다.
말뫼가 취한 행동들
말뫼는 지속가능한 도시를 위한 노력을 보다 넓은 지역으로 확대하고 있다. 말뫼 남부에 있는 Hyllie 지역, 9,000여 가구 규모의 신규 주거지와 비즈니스센터가 들어서는 이곳을 기후 대응에 있어 가장 진보적인 지역으로 만들어가고 있다. 이 지역에서는 2011년 말뫼시와 에너지기업 E.ON, 그리고 지역 공기업 VA SYD가 새로운 기후?약(New Climate Contract)를 맺고 협력하고 있다.
2015-2018 환경프로그램 이행계획에 따라서 진행된 재생에너지 관련 활동은 아래와 같다.
- 태양광, 태양열, 수력, 풍력, 바이오가스를 통한 에너지 생산 목표의 설정
- 말뫼 경계 내의 재생에너지 발전 비율에 대한 조사와 상향
- 빌딩과 지역재생에너지 생산에 있어서의 에너지절감형 도시 디자인 시범지역 선정
- 지열가스, 풍력 발전, 그리고 다른 형태의 재생에너지 플랜트를 고려한 중앙정부 수준의 규정 마련 촉진
- 재생에너지 개발을 위한 대안적 재정지원 모델의 발굴
- 말뫼에 제공되는 지역난방에 있어서의 재생에너지 비중 확대 촉진
이중 몇 가지 지표와 목표는 2015년 이후 더욱 강화되었다. 2020년까지 말뫼 지역에 공급되는 지역난방을 위한 에너지 생산의 100%를 재생에너지로 전환할 것을 목표로 하였다.
말뫼 전역에 대한 100% 재생에너지 전환 전략도 모든 교통시스템에 대한 전기구동 차량으로의 전환을 필요로 한다. 이 영역에 대한 말뫼의 행동과 지표는 스웨덴 국가정부 차원에서의 야심찬 목표를 반영하고 있다. 스웨덴 정부는 2020년까지 교통 부분 에너지 소비의 10%를 재생에너지로 전환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고, 2030년까지는 교통부문에서의 화석연료 사용량 '0'을 목표로 하고 있다. 말뫼의 2015-2018 이행계획에서 설명하고 있는 교통부문에서의 전략은 아래와 같다.
- 새로운 친환경 자동차 활성화 전략
– 지자체 관용차량에 대한 바이오가스, 수소, 전기차량(플러그인 하이브리드 포함) 확대
- 주차 실태와 가격, 위반 시 처벌과 벌금에 대한 총괄적 조사 진행
- 자전거 공유 프로그램 구축
- 전기 자동차 충전시설 확충
- 대중교통, 자전거, 그리고 전기 자동차를 중심으로 사람과 물류의 흐름 통합 작업
- 바이오가스, 수소, 그리고 전기차 충전을 제공하는 지속가능한 서비스 스테이션 구축
- 보행, 자전거, 대중교통의 이용 환경 개선
Photo by Jesper Ericsson on Unsplash
도시 운영시설의 에너지 전환
말뫼는 2015년에 이미 시가 운영하는 시설에 제공되는 전력량의 100%를 재생에너지를 통해 발전하였다. 이 전력량의 약 94.5%는 시가 구매한 전력이며, 나머지 5.5%는 자체적으로 생산한 전력이고 대부분은 풍력 발전이다. 2014년에 두 개의 풍력발전 시설을 구매한 효과가 기존 태양광 발전량과 더불어 2017년에는 그 발전량이 16,660 MWh에 이르렀고 이는 2009년 559 MWh의 30배에 이르는 수치다. 말뫼의 북항과 외부순환도로에 설치되는 대규모 풍력발전시설이 가동을 하게 되면 연간 발전량은 36,000 MWh 상승하게 되고, 이를 통해 1만 3천 가구의 연간 전력 소비를 커버할 수 있는 수준으로 성장할 것이다.
자전거의 도시 말뫼
오늘날 말뫼는 장장 470km에 이르는 자전거 도로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으며, 이는 스웨덴 도시들 중에서도 단연 으뜸이다. 이는 실제로 말뫼의 자매도시이자 세계적인 자전거 도시인 코펜하겐보다도 높은 수치이다. 말뫼에서의 자전거 이용률은 지금도 성장하고 있으며, 도시 전체 교통의 약 30%가 자전거로 이루어지고 있고, 학교 통학과 직장 출퇴근 이동에 있어서는 4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수준이다.
자전거는 말뫼의 도시 교통에서 우선순위를 차지하고 있다. 도심 지역의 28개 교차로에는 자전거의 이동을 감지하고 우선 신호를 제공하는 자동인식 시스템이 도입되어 있다. 자동차 이동이 많지 않은 교차로에 자전거 이용자가 접근을 하면 신호등이 자전거 녹색등을 표시하여 자전거 이용자가 정차하지 않고 안전하게 교차로를 지날 수 있는 이동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물론 말뫼에서의 이동에 있어서 여전히 자동차를 필요로 하는 경우가 있지만 이러한 자동차의 이동도 지속가능성을 고려하여야 한다. 말뫼는 바이오가스 생산을 위해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의무 수거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다. 이렇게 생산된 바이오가스는 버스와 승용차 연료로 사용하고 있으며, 이미 말뫼 지역의 177개 모든 도시 버스는 천연가스와 바이오가스를 혼용하여 운영되고 있다. 바이오가스를 이용하는 승용차의 숫자도 증가하고 있으며, 2015년에 이미 시의 모든 행정차량에 대해서 바이오가스, 전기, 수소 연료 자동차로 교체하는 정책을 도입하였다.
Photo by Susan Yin on Unsplash
지속가능한 도시의 모델, 말뫼
말뫼는 한국의 도시들보다 훨씬 앞서 산업적 쇠퇴와 도시 성장의 한계를 경험하였다. 이러한 어려움을 통해 새로운 방향의 도시 전략을 필요로 했고, 그 해답을 ‘도시 지속가능성’에서 찾았다. 말뫼를 보면 온실가스를 줄이고 재생에너지를 확대하는 것이 결코 우리의 산업 경쟁력을 약화시키기만 하고 그에 따라 시민의 삶을 불편함과 고단함으로 채우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우리는 이미 4차 산업혁명으로 대표되는 변화의 물결 속에서 과거 전통적 산업에서 새로운 산업으로의 전환을 빠르게 진행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는 우리가 과거에 겪었던 농업사회에서 산업사회로의 변화보다도 훨씬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말뫼는 조선 산업의 쇠퇴라는 어려움을 겪은 후에 이 극복하는 과정에서 야심찬 변화를 추진하였고, 그 결과로 지금의 풍요롭고 살기 좋은 도시의 모델이 되었지만, 이러한 교훈을 이미 접하게 된 우리의 도시들은 보다 앞선 행동을 통해 말뫼가 겪은 변화를 조금은 쉽게, 혹은 시행착오를 덜 겪고 추진할 수 있지 않을까? 물론 스웨덴의 기후, 풍토, 도시의 규모, 인구, 밀도, 시민의식, 조세체계 등, 셀 수 없이 많은 부분에서 우리의 그것과 매우 다르다. 하지만 지구라는 행성에서 함께 진화하며 살아가는 인류가 본능적으로 추구하는 자연과 조화를 이룬 평화로운 삶에 대한 근본적 욕구는 스웨덴 사람과 우리가 결코 다르지 않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말뫼와 같은 변화가 여느 도시에서 실현되기가 쉽지 않은 것은 경험을 통한 학습과 성장의 가치가 그만큼 크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무엇보다도 우리에게 요구되는 이러한 변화가 이제 더 이상 북극에서 서식지를 잃어가는 북극곰을 살려야 한다는 먼 나라 이야기가 아니라, 우리와 우리가 살다가 물려줄 도시를 고스란히 이어받아 살아야 하는 다음 세대의 생존을 위한 것이라는 사실이 이러한 변화를 조금 더 시급함으로 앞당겨 줄 수 있지 않을까 기대해 본다.
<참고 자료>
Integrating Ambitious Renewable Energy Targets in City Planning
http://old.iclei.org/fileadmin/PUBLICATIONS/Case_Studies/7_Malmo_-_ICLEI-IRENA_2012.pdf
Malmo – from industrial wasteland to sustainable city
http://www.climateaction.org/climate-leader-papers/ilmar_reepalu_mayor_city_of_malmoe_sweden
Malmo stad
https://malmo.se/Nice-to-know-about-Malmo/Technical-visits/Theme-Sustainable-City.html
Steps to Achieving 100% Renewable Energy Use
https://www.irena.org/-/media/Files/IRENA/Agency/Publication/2018/Dec/IRENA_Cities_2018e_Malm.pdf?la=en&hash=15AAEB18677CA4C7575A1D86F75E9BA6C941661A
문의: 강정묵 정책정보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