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발전목표[WUF10] 10차 세계도시포럼의 3가지 하이라이트

©UN-Habitat

 

아랍 에미리트연합 아부다비에서 1만 3천여 명의 전 세계 참가자들과 함께한 세계 최고의 도시 지속가능성관련 플랫폼인 제10차 세계도시포럼이 막을 내렸다. 장장 6일에 걸쳐 진행된 이번 포럼은 유엔해비타트(UN-Habitat) 마이무나 샤리프 (Maimunah Sharif) 사무총장의 폐막 선언으로 2022년 폴란드 카토비체에서 열리게 될 11차 세계도시포럼(WUF11)을 기약하였다. 폐막식에서는 미래 세대를 위해 더 나은 도시라는 유산을 남겨주기 위한 공동의 목표(SDG11 & NUA)와 협력적 이행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이클레이 한국사무소는 이번 WUF10에서 주목할 만한 3가지 하이라이트를 소개하고자 한다. 

 

아부다비 행동 선언

이번 포럼의 결과문서로 채택된 아부다비 행동선언(Abu Dhabi Declared Actions)에는 지난 2015년에 전 세계 리더들의 합의로 채택된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를 달성하기 위한 지원과 노력을 다짐하는 국제기구, 국가, 지방정부, 민간영역, 시민사회, 하계, 그리고 다른 여러 이해당사자들의 다짐과 행동 계획이 포함되었다.

 

이 선언문에서 국제사회는 지속가능발전을 향한 전환적 변화(Transformative Change)의 힘이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하고, 포용적이고, 회복력 있고, 지속가능한 경제적 성장과 번영을 모두가 공유할 수 있는 기회를 도시에서 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도시는 국제사회가 직면한 다양한 문제들, 가령 기아와 가난, 성불평등, 인권, 실업, 공중보건, 사회적 응집력의 상실, 문화유산과 문화적 다양성의 유실, 환경파괴, 이민, 재난과 기후변화에 대한 혁신적인 해결책을 제시하며 복잡다양한 도시/지역의 문제들을 해결해 나가고 있다고 강조하였다.

 

아부다비에서 열린 이번 WUF10에서는 도시화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 새로운 도시의제(New Urban Agenda, NUA)를 달성하기 위한 해결책의 공통 영역으로 ‘문화’를 제시하였다. 실제로 도시의 환경은 문화에 상당한 영향을 끼친다. 문화는 문화유적, 창의력, 그리고 다양성을 포함한 지역적 정체성(identity)의 중요한 부분이며, 그렇기 때문에 도시를 디자인하고 성장을 관리하는 과정에서 도시의 문화적 자원은 적절히 관리되고 강화되어야 한다. 일부에서는 이미 ‘문화’를 경제, 사회, 환경과 더불어 지속가능발전의 4번째 요소 중 하나로 포함하는 경향이 있다. 문화유산을 유지하면서 도시의 활력을 증진하는 것은 시민들로 하여금 과거를 기억하고 기념하면서, 동시에 지속가능한 미래를 품을 수 있도록 한다. 도시들은 전략적이고 통합적인 도시계획을 통해 지속가능하고 번영하는, 그리고 살기 좋은 도시를 만들기 위한 도시의 유산, 문화, 지역의 경제적 수요, 환경적 고려, 생물다양성, 저탄소 발전, 그리고 기후회복력을 통합적으로 추구할 수 있다.

 

아부다비 선언문에서는 또한 ‘문화’와 ‘문화적 유산’을 표현의 다양성(diversity)을 보호하기 위한 가치 있는 자원으로 인식하였고, 새로운도시의제(New Urban Agenda, NUA)를 이행하기 위해서는 모든 수준의 정부와 다양한 이해당사자들이 참여하는 통합적인 접근의 필요성을 언급하면서 혁신, 그리고 과학과 기술의 진보를 NUA 이행의 중요한 부분으로 강조하였다. 마지막으로 WUF10에 모인, 혹인 모이지 못한 도시/지방정부 관련 모든 이해당사자들에게 SDG11번으로 대표되지만 실질적으로 17가지 SDGs 목표들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그들의 역할을 강조하고 남은 10년 동안의 이행 노력과 적극적인 협력을 당부하였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는 효과적인 모니터링과 리포팅을 통해 각 지역에서 진행되는 활동을 공유하고 독려할 수 있는 매커니즘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선언문의 뒷부분에서는 아래에 명시된 주요 이해당사자들이 WUF10과 NUA, 그리고 SDG 11번에 대한 각자의 입장과 기대, 그리고 다짐을 문서로 남겼다.

- 국제기구 (International Organizations)

- 국가정부 (National Governments)

- 광역/지방정부 (Local and Regional Governments)

- 기업체 (Private Sector)

- 시민사회 (Civil Society)

- 학계 (Academia)

- 기타 그룹 (Other groups)

 

©UN-Habitat

 

모두를 위한 디지털 기술

이번 포럼에서는 그 어느 때보다 빠른 기술의 진보를 이루고 있는 현대 사회에서 우리의 도시와 시민들이 직면한 다양한 경제·사회·환경적 문제들의 상당부분이 혁신적인 기술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이 유독 강조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기술의 혁신이 새로운 차별과 계층의 분화를 낳는 것이 아니라 인류가 이룩한 기술적 진보와 그 혜택을 모두가 누릴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특히 ‘사람중심의 스마트시티’ 세션을 통해서 디지털 기술의 확산과 그에 따른 잠재적 이점과 문제들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가 진행되었다. 이 세션에서는 이미 전 세계 절반이 넘는 인구가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24시간 온라인에 접속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황해서 여전히 36억의 인구는 정보의 바다인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적절한 접근성을 제공받지 못하고 있다. 우리는 이미 정보, 인공지능, 연결성(connectivity), 그리고 새로운 디지털 경제가 우리의 사회를 바꿔가고 있는 모습을 실시간으로 목격하고 있다. 디지털 기술은 사람을 보조하고, 공공 서비스와 근로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잠재력을 제공한다. 하지만 고질적인 디지털 계층 분화는 여전히 존재하고 있으며, 그러기에 디지털 혁명은 민주적이고 포용적인 방향으로 제시되고 관리되어야 한다. 수요에 기반 한 디지털 경제(Demand driven Digital Economy)의 중요성도 강조되었다. 사람은 도시의 심장과 같으며, 이들이 인터넷과 디지털 서비스에 접근하는 것은 더 이상 사치가 아닌 필수이다. 그렇기 때문에 일부 기업이 독점적으로 수집하고 소유하고 있는 공공데이터들은 반드시 시민의 삶을 개선하는 도구로 활용되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UN-Habitat

 

이클레이@WUF10

세계도시포럼은 도시/지방정부와 관련한 전 세계 다양한 이해당사자들을 모으고 함께 이야기 할 수 있는 최적의 플랫폼이다. 도시 지속가능성을 최고의 목표로 활동하고 있는 이클레이에 있어서도 빠질 수 없는 중요한 기회인 것이다. 이클레이는 전용 부스를 꾸리고 우리가 전 세계 1,750여개 도시들과 함께 만들어가는 지속가능한 미래의 청사진을 공유하였고 이클레이의 5가지 성장전략을 홍보하였다.

 

이클레이 회장단을 비롯한 리더십들도 WUF10의 공식 의제와 행사에 참여하여 이클레이의 목소리를 대변하였다. 특히, 이클레이 리더들은 세계지방정부총회 (World Assembly of Local and Regional Governments)에 참석하여 지방정부들의 글로벌 총회를 함께 하였고, 케이시 오케 (Cathy Oke) 이클레이 수석 부회장과 지노 반 베긴 (Gino Van Begin) 이클레이 사무총장은 ‘연구자 라운드테이블’과 ‘도시의 문화와 기후변화 행동’ 특별 세션에 각각 참여하여 도시 지속가능성과 관련한 이클레이의 입장과 활동을 공유하였다.

 

이 외에도 WUF10 전체 기간에 고루 분포된 협력/공동 개최 세션을 통해 저탄소, 자연기반해결책, 회복력, 순환경제, 그리고 포용적 도시 성장과 관련한 다양한 세션을 운영하며 WUF10 의제에 기여하였다.

 

©UN-Habitat

 

<관련 기사>

World Urban Forum speakers call for digital technology to benefit all

https://wuf.unhabitat.org/world-urban-forum-speakers-call-digital-technology-benefit-all 

 

The world’s premier meeting on the future of cities ends with stirring call to action

https://wuf.unhabitat.org/worlds-premier-meeting-future-cities-ends-stirring-call-action

 

UN Reports on System-wide Tools for SDG Data

https://sdg.iisd.org/news/un-reports-on-system-wide-tools-for-sdg-data/

 

문의: 강정묵 정책정보팀장

 


이클레이 한국사무소

이클레이 한국사무소
(10390) 경기도 고양특례시 일산서구 킨텍스로 217-59 사무동 502호
TEL: 031-255-3257 / FAX : 031-256-3257
Email : iclei.korea@iclei.org

이클레이 뉴스레터 구독 신청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지난 뉴스레터 보기

© 2025 ICLEI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