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발전목표[월간 SDGs] 2021 HLPF(High-Level Political forum) 미리보기

 

Photo by Daryan Shamkhali on Unsplash

 

*월간 SDG는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와 관련한 최신 이슈와 흥미로운 해외 기사를 우리말로 번역하여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이번에는 오는 7월에 개최될 2021 HLPF의 준비 상황과 주요 의제를 미리 살펴보고자 합니다.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고위급 정치포럼(High Level Political Forum, HLPF)은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UN의 2030 의제와 이에 포함된 17개의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의 각 국가별 이행상황을 추적하고 검토하기 위해 마련된 UN의 핵심적인 이행점검 플랫폼이다. 1992년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의제 21의 채택과 함께 설립된 UN지속가능발전위원회(UNCSD)가 2013년에 HLPF로 전환되면서 본격적인 SDGs 이행 점검 기구로서의 역할을 시작하였다. 

 

 2021 HLPF 일정과 주제 

2021년 HLPF는 2021년 7월 6일~15일까지 유엔 경제사회이사회(ECOSOC) 주관으로 개최되며, 여기에는 ECOSOC 고위급 과정의 한 부분으로 3일 간(7.13~15)의 장관급 미팅을 포함될 예정이다. 올해의 주제는 전 세계적인 코로나19 확산 상황과 지속가능한 회복에 초점을 맞추어 아래와 같이 길지만 강력한 주제를 제시하였다.

 

“지속가능발전의 경제, 사회, 환경적 차원을 촉진하는 지속가능하고 회복탄력적인 코로나19로 부터의 회복: 지속가능발전의 이행과 10년간의 행동과 재건의 맥락에서 2030 의제의 달성을 위한 포용적이고 효과적인 이행 경로의 구축.” 

 

“Sustainable and resilient recovery from the COVID-19 pandemic that promotes the economic, social and environmental dimensions of sustainable development: building an inclusive and effective path for the achievement of the 2030 Agenda in the context of the decade of action and delivery for sustainable development”

 

 

 주요 점검 목표와 VNRs 발표국 

HLPF에서는 매년 특정 SDGs 목표들에 대한 심층 검토를 진행한다. 올해 2021 HLPF에서 집중적으로 추적하고 검토할 SDGs 목표들은 아래의 9가지 목표이다. 

 

Goal 1 - 빈곤 퇴치, Goal 2 - 기아 종식, Goal 3 - 건강과 웰빙, Goal 8 - 양질의 일자리와 경제성장, Goal 10 - 산업, 혁신, 사회기반 시설, Goal 12 -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 Goal 13 - 기후변화 대응, Goal 16 - 정의, 평화, 효과적인 제도, Goal 17 - 글로벌 협력

 

HLPF에서는 각 국가들의 자발적국가검토(Voluntary National Reviews, VNRs) 내용을 발표하는 기회를 제공하기도 한다. HLPF 사무국은 매년 30~40개 국가들에게 VNRs 발표 기회를 제공하며, 이번 2021 HLPF에서는 42개 국가들이 VNRs을 발표한 예정이며, 앙골라, 볼리비아, 지부티, 쿠바 등의 국가들이 그들의 첫 VNRs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며, 노르웨이, 스웨덴, 북한, 일본, 중국 등이 두 번째 VNRs을, 그리고 우루과이, 인도네시아, 과테말라, 이집트 등은 그들의 세 번째 VNRs을 국제 사회와 공유할 예정이다.

 

 장관급 선언문 

이번 HLPF를 통해서 코로나19 확산에 대한 국가별 지역별 대응의 다양한 특징들과 국제적인 협력 모델을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HLPF의 대미를 장식할 장관급 선언문을 비롯한 ECOSOC 의장이 강조하게 될 이번 HLPF의 주요 메시지는 문서를 통해 사전에 각 국가에 전달하였다. 해당 문서의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다.

 

I. 도입

● 코로나19와 그 영향에 따른 재난은 글로벌 연대를 바탕으로 한 협력적 대응을 필요로 하며, 2030의제는 우리의 최전방 방위선이 될 것이다. 

● 2030의제와 SDGs의 이행에 대한 각국의 약속을 재확인하고, 행동의 가속화와 변혁적인 이행경로을 통한 10년간의 회복과 재건을 현실화 한다. 또한, 2030의제의 원칙인 지구를 보호하는 과정에서 “아무도 소외되지 않도록(No One Left Behind, NOLB)” 함을 재확인 한다.

● 다자주의의 역할과 2030 의제의 이행과 SDGs의 달성을 지원하고 안내하는데 있어 UN 시스템의 중요성을 재확인 한다.

 

II. 코로나19 확산이 2030 의제를 이행하는데 끼치는 영향과 남은 10년 동안의 회복과 재건을 위한 글로벌 협력 체제의 강화

● 보다 포용적이고 지속가능한 방식의 SDGs 달성을 위해 2030 의제의 이행 전반에 있어서 코로나19의 영향과 코로나로 인해 발견된 시스템적인 문제를 해결

● 지속가능한발전의 경제, 사회, 환경적 차원을 촉진하는 방향성을 바탕으로 코로나19의 영향으로부터의 지속가능하고 탄력적인 회복을 위해 유용한 정책과 조치에 대한 권고

● 빈곤, 불평등, 회복력, 재정적 문제의 해결과 다자적 협력과 국가 간 디지털 격차 해소를 통해 안전하고 효과적인 코로나19 백신, 치료제, 그리고 진단 키트에 대한 전 세계적인 빠르고 공정한 접근을 보장

 

III. 심도 있는 토론을 통한 지속가능발전목표의 평가

● 2021 SDG 보고서, 지역 위원회, 그리고 다른 정부 간 기구와 ECOSOC의 기능별 위원회로부터의 의견 청취

● VNRs을 발표하는 42개 국가들에 대한 피드백 및 평가와 두 번째, 혹은 연속적으로 VNRs를 발행하는 국가들의 대한 언급과 다른 국가들도 그렇게 할 것을 권장

● 심층 토론을 통해 각 목표들에 대한 평가와 코로나19에 따른 영향, 그리고 각 목표의 달성을 위해 나아가야 할 방안에 대한 권고, 그리고 다른 목표들과의 관계성 언급

 

IV. 기타 주요 이슈들

● 다면적인 특징을 포함한 가난, 평화, 안전, LNOB(Leave No One Behind), 인권, 사회적 포용성, 특수상황에 있는 국가, 중간소득 국가, 경제적 번영과 적절한 일자리, 국제무역, 젠더, 어린이와 청소년, 데이터 분화, 기후변화, DRR(Disaster Risk Reduction), 미래보건위기 대응과 예방, 지역화, 과학과 급격한 기술 변화의 역할, 디지털 연결성  

 

V. 행동의 가속화

● 코로나 위기로 부터의 더 나은 회복의 한 부분으로 SDGs의 달성을 위한 행동의 가속화 요청과 SDGs의 정치적 선언에 포함된 10가지 중점 추진 분야에 대한 재확인

● UN총회와 사무총장의 2021-2022 주요 이벤트를 위한 행동에 기반 한 결과물을 촉진

● 모든 수준에서의 모든 주체들이 코로나로 부터의 지속가능한 방식의 회복과 체계적인 대응 사례의 권장과 성공적 정책의 강조, 그리고 이행 수단, 기관, 세분화된 데이터와 통계, 지역적 행동, 과학-정책 접속 강화, 글로벌 협력과 파트너십을 통한 혁신을 강화하는 조치, 다양한 이해당사자를 통한 접근의 중요성 강조.

● 포스트 코로나19 시대의 새로운 현실에서의 UN의 시스템적 대응과 역할 강화

● 제출된 VNRs의 주요 내용과 성과물을 10년간의 행동과 재건을 위한 이행과 행동의 가속화를 지원하는데 적극 활용

 

 

상기 문서의 내용에서 반복적으로 언급되는 바와 같이, 이번 HLPF는 작년에 이어 코로나19에 대한 대응과 회복이 중점 의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코로나19 회복을 위한 일련의 조치들이 2030의제의 이행과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의 달성을 동시에 이룰 수 있는 지속가능한 방법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모니터링하고 권고하는 것이 이번 HLPF의 가장 중요한 목표이자 역할이 될 것으로 보인다. 


 

<참고 및 원문 자료>

HIGH-LEVEL POLITICAL FORUM 2021 UNDER THE AUSPICES OF ECOSOC

https://sustainabledevelopment.un.org/hlpf/2021   

 

Structure of the Ministerial Declaration of the High-level Segment of the 2021 Economic and Social Council (ECOSOC) and the high-level political forum on sustainable development (HLPF)

https://sustainabledevelopment.un.org/content/documents/27509Structure_of_the_Ministerial_Declaration_FINAL.pdf   

 

문의: 강정묵 정책정보팀장

 


이클레이 한국사무소

이클레이 한국사무소
(10390) 경기도 고양특례시 일산서구 킨텍스로 217-59 사무동 502호
TEL: 031-255-3257 / FAX : 031-256-3257
Email : iclei.korea@iclei.org

이클레이 뉴스레터 구독 신청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지난 뉴스레터 보기

© 2025 ICLEI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