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발전목표지속가능발전목표 달성을 위한 올바른 도시화와 도시권

 

SDG 11번 목표는 전체 SDGs 달성을 위한 중심 지렛대

새롭게 채택된 이클레이 몬트리올 약속과 전략 비전 2018-2024는 상호 긴밀하게 연결된 5가지 발전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 저탄소, 자연기반, 순환적, 회복력 있는, 그리고 평등한 발전. 그들이 이러한 전략들은 도시와 지역들이 지속가능한 도시 발전을 이루는 길에 중요한 지침이 될 것이다. 이클레이 네트워크가 이 새로운 전략 비전을 통해 이행하고 있는 일들은 몬트리올 행동계획에 모두 녹아져 있으며, 지속가능한 도시화와 도시권 확보에 기여하기 위한 약 130개 이상의 프로젝트, 파트너십, 그리고 이니셔티브들이 여기에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프로젝트들은 대부분이 도시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SDG 11번에 국한되지 않는다. 재화의 생산과 소비의 중심인 도시는 다양한 분야가 엮인 프로젝트를 이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단적으로 교통 부문을 보면 그렇다.

 

접근성, 쾌적한 대중교통은 SDG 11번 목표 달성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또 한편으로는 이는 SDG 13(기후행동)을 위한 매우 강력한 진입 수단이기도 하다. 전 세계적으로 자동차는 인간이 배출하는 온실가스의 약 15 퍼센트를 차지한다. 이 비율은 국가와 지역에 따라 다르다. 미국의 경우 교통부문이 전체 온실가스 배출의 30%를 차지 하는가하면, 아르헨티나에서는 40%에 이른다.

 

교통 시스템의 전환을 통해서 이클레이 프로젝트들은 각 목표의 경계를 허물고 하나의 프로젝트로 여러 목표를 달성하는 기회를 찾아가고 있다. 실제로 교통 프로젝트를 통해서 온실가스 배출량을 현격히 감소시킬 뿐 아니라 시민의 삶의 질도 개선할 수 있다.

 

비슷한 기회를 우리는 도시 계획에서 찾을 수 있다. 효과적인 도시계획은 도시가 SDGs를 이행하고 달성할 수 있는 역량을 제공하며, 이클레이 네트워크 내의 도시들에서 많은 사례를 찾아볼 수 있다.

 

SDG 7(적정 가격의 청정 에너지) 목표와 관련해서 한국의 제주도와 스웨덴 벡쉐, 캐나다 밴쿠버와 같은 도시들이 이클레이 100%재생에너지 이니셔티브에 참여하여 야심찬 에너지 목표를 세우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함께 노력하고 교류하고 있다.

 

SDG 12(책임있는 소비와 생산) 목표와 관련해서는 지속가능 공공구매를 위한 이클레이 글로벌 선도 네트워크를 통해 14개 도시들이 지속가능하고 책임 있는 소비와 생산을 위한 혁신적인 방법과 제도를 교류하고 촉진하고 있다 생물다양성과 관련해서는 생물다양성협약 사무국과의 긴밀한 협력을 바탕으로 이클레이 도시 생물다양성 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며, 지역 차원에서의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다양한 도구와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지속가능발전 의제의 중심에 위치한 SDG 11번 목표

빠르게 도시화되어가는 우리의 세계에서, SDG 11번을 달성하는 것 도시권을 갖는 것 은 지속가능발전 의제의 중심에 있다. 지난 7162018 HLPF에서 열린 지방정부 포럼에서 이클레이 회장 Ashok Sridharan 본 시장은 2030 의제의 중심에 SDG 11번 목표를 놓기 위해 지속가능한 도시와 인간 정주를 위한 유엔 10(UN Decade for sustainable Cities and Human Settlements)” 프로그램의 구축을 공식적으로 요청하였다.

 

“2012Rio+20 정상회의에서 이클레이는 지속가능한 도시를 위한 글로벌 10년을 이미 제안한 바 있다. 지금이야 말로 이러한 방식의 글로벌 모멘텀을 구축하기에 최적의 시기입니다. SDG 11번 목표에 대한 첫 번째 검토 과정에서, 이클레이는 글로벌작업반(Global Task Force)를 대표하여, UN 공동체와 모든 이해당사자들이 지속가능한 도시와 인간 정주를 위한 유엔 10년 프로그램이 2019UN 기후정상회의와 HLPF를 통해 채택할 것을 요청하는 바입니다.”

 

 

<기사 원문>

Getting urbanization right: achieving the SDGs

http://talkofthecities.iclei.org/getting-urbanization-right-achieving-the-sdgs/

 

문의: 강정묵 정책정보팀장

 


이클레이 한국사무소

이클레이 한국사무소
(10390) 경기도 고양특례시 일산서구 킨텍스로 217-59 사무동 502호
TEL: 031-255-3257 / FAX : 031-256-3257
Email : iclei.korea@iclei.org

이클레이 뉴스레터 구독 신청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지난 뉴스레터 보기

© 2025 ICLEI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