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발전목표지속가능발전목표 국제 동향 (2018년 11월)

 

 

이번 기사에서는 유엔생물다양성협약 제14차 당사국협약이 지난 11월에 개최됨에 따라, IISD에서 다룬 관련 리포팅에서 기후변화협약과 연계된 생물다양성 이슈를 간략히 다루고자 한다.

 

이집트 샤름-엘 셰이크에서 열린 유엔생물다양성협약 제14차 당사국 총회에서는 기후변화 이슈에서부터 거버넌스와 아프리카 지역에서의 식량 및 식수 문제에 이르는 유스들이 이번 총회의 주제인 “사람과 지구를 위한 생물다양성에 대한 투자”와 연계하여 다루어졌다.

 

생물다양성협약사무국(CBD)는 “생물다양성과 SDGs”라는 제목의 브리핑 자료를 통해 생물다양성이 어떻게 17가지 지속가능발전목표에 영향을 끼치고 인간의 웰빙과 올바른 발전 우선 순위에 기여하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기후변화와의 연관성과 관련하여 CBD 사무총장 Cristiana Pasca Palmer와 생물다양성과 생태시스템 서비스에 관한 국가간 과학-정책 플랫폼(IPBES) 사무총장 Anne Larigauderie는 생물다양성에 대한 중요성과 대화가 기후변와 관련 이슈들에 가려져 제대로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있다는 우려를 표명하였다. 예를 들어서 그들은 최근의 IPCC 보고서에서 생물다양성 분야가 심각하게 외면되었다고 탄식하였다. 그들은 또한현재의 글로벌 생물다양성 전략의 설정 기간 만료되는 2020년 이후의 보존지역에 대한 다음 단계를 위한 윤곽을 보여주기도 하였다.

 

생물다양성과 기후변화의 긍정적 연계성을 보여주기 위해, PBL 네덜란드환경평가청은 UNFCCC 프로세스에서의 성공과 실패 사례를 바탕으로 생물다양성협약 토론 과정에 적용하는 방법을 연구하였고, 이를 통해 보다 포용적이고, 효과적이고 광범위한 지원을 받는 포스트-2020 글로벌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의 개발을 위한 영감을 제공하였다. 저자는 또한 하향식 모델에서 하이브리드식 복합적 접근과 비정부 활동가의 역할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이 보고서는 정량적 장기 목표, 절차적 의무와 연동된 자발적 약속 형식의 프레임워크, 그리고 투명한 회계 시스템과 같은 파리협약의 설계적 특징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관련 기사>

SDG Knowledge Weekly: Biodiversity’s Linkages to Climate, Conservation Assessments, Africa, Finance

http://sdg.iisd.org/commentary/policy-briefs/sdg-knowledge-weekly-biodiversitys-linkages-to-climate-conservation-assessments-africa-finance/

SDG Knowledge Weekly: Data, Indicators and Statistic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http://sdg.iisd.org/commentary/policy-briefs/sdg-knowledge-weekly-data-indicators-and-statistics-for-sustainable-development/

 

문의: 강정묵 정책정보팀장


이클레이 한국사무소

이클레이 한국사무소
(10390) 경기도 고양특례시 일산서구 킨텍스로 217-59 사무동 502호
TEL: 031-255-3257 / FAX : 031-256-3257
Email : iclei.korea@iclei.org

이클레이 뉴스레터 구독 신청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지난 뉴스레터 보기

© 2025 ICLEI KOREA